코딩하는 도로시

코딩 교육, 코딩 과학, 코딩 동화, 코딩 게임 등등! 아이부터 어른까지 모두 가능한 코딩! 함께 해보아요~~

분류 전체보기 68

java 클래스와 jsp 를 이용한 Simple Book Cart 구현

1. 먼저 Book.java 파일, BookDao.java 파일, BookCart.java 파일 을 만들도록 합니다. 2. 이제 bookList.jsp 파일을 만들도록 합니다. 이 화면이 첫 화면이 될 것입니다. 3. info.jsp 파일 : 초기화면에서 책제목을 클릭하면 이동하게 될 화면입니다. 4. add.jsp 파일 : '구입하기' 버튼을 누르면 이동하게 될 화면입니다. 이 화면으로 이동하여 '(책제목)을 구입하셨습니다.' 라는 팝업창이 뜨고 확인 버튼을 누르면 다시 초기화면으로 되돌아가도록 하였습니다. 5. writer.jsp 파일 : 초기화면에서 작가이름을 누르면 이동하게 될 화면입니다. 해당 작가가 지은 모든 책의 리스트를 bookDao 객체에서 받아와서 출력해주도록 합니다. 6. check...

개발메모장 2014.12.18

HTML 예제

표준 블록 요소. 블록 요소는 그 줄에서 좌우로 최대한 늘어난다. 이건 인라인 요소 10px 10px gray 10px 10px 20px gray 둥그런 보더입니다. 호랑이를 주제로 한 민화 그림의 작가 그림의 시대 그림의 재료 그림의 주인공 그림의 활용 승운용호도 사람 이름 같기도 한 이 그림을 처음 보았을 때 티셔츠에 새길 그림을 일러스트레이터로 작업 중이었다. 비록 그림을 보며 원본대로 그려내는 작업이었지만 즐거웠다. 용과 겨루는 황금빛 호랑이의 모습이 용맹하기도 했지만 내게는 약간 귀여워 보였고 무엇보다 순수해 보였다. 어둠 속에서 나타난 비겁한 용보다는 맑은 물을 튀며 신성한 기운을 드러내는 우리 호랑이에서 무한한 애정을 느꼈기 때문이다. 길상백호 호랑이 그림은 예로부터 아래로 내려오는 것보다 ..

개발메모장 2014.12.18

Servlet 파일생성

1. server 등록! 일단, servlet 파일을 사용하려면 server 를 등록해주어야 합니다. 프로젝트를 지정해주고 마우스 오른쪽 클릭 -> 속성 -> Targeted Runtime -> Apache Tomcat v7.0 선택해주고 확인! 2. servlet 파일 생성 프로젝트를 지정해주고 마우스 오른쪽 클릭 -> New -> Servlet java package 이름 지정해주고 클래스 이름 지정해주고 Finish (url 매핑 명령어를 다르게 지정해주고 싶다면 => Next -> name에 url 매핑 명령어를 입력해 준후 Finish) /* * 웹 : 처음에는 정적이 html로만 구성. 시간이 지나면서 동적인 컨텐츠의 표현요구가 생성 * 서버와 외부의 기관 또는 프로그램(동적 컨텐츠 제공) 을..

개발메모장 2014.12.18

Tomcat 설치 , JSP

1. 다운로드. http://tomcat.apache.org/download-70.cgi 사이트에 가서 해당 파일을 다운받고 설치합니다. 2. tomcat 가져오기 이렇게 서버를 생성해주고 나면 서버 프로젝트가 생성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3. server.xml 파일 수정 서버 프로젝트에서 server.xml 파일을 열고 Source 탭으로 가서 Connector 태그를 찾아서 포트번호를 알맞게 바꾸고 URIEncoding="utf-8" 이라는 문자열을 추가해줍니다. 이것은 나중에 서버 실행시 한글이 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4. 프로젝트 생성하기 이제 새로운 프로젝트르 생성해봅시다. File -> New -> Dynamic Web Project 를 선택해주고 프로젝트명을 입력해준뒤 next..

개발메모장 2014.12.18

HTML 기본예제2

get은 서버로 보내는 내용이 주소창에 나타나는 방식   -> 내가 입력한 정보를 서버에 전달하기 위함.   (뒤로가기(무효화) 가능하고, 즐겨찾기 할수 있다는 장점, 보안이 약하다는 단점)  post는 주소창에 변화가 없는 방식   -> 내가 보낸 정보로 인해 서버의 상태가 바뀌도록 함.(ex>결제)  delete와 put은 보통은 사용하지 않는데,   위 4가지 method를 다 사용하는 방식을 "RESTful" 방식이라고 한다. -->

개발메모장 2014.12.18